기후동행카드를 접하고 알아보다 보니 케이패스(k패스)라는 비슷한 카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기후동행카드와 비슷하게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고안된 상품인데요, 오늘은 케이패스 할인 정보와 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케이패스란?
케이패스는 국토교통부에서 지원하는 사업으로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주는 카드 상품입니다. 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을 아무리 많이 이용해도 월 부담상한액까지만 내면 되는 개념이라면, 케이패스는 대중교통 이용금액에 비례해서 일정 비율만큼을 환급해주는 것입니다. 환급 비율은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층 53%입니다. 청년은 만 19세~34세로 정의되어 만 39세까지 청년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기후동행카드보다 범위가 좁습니다. 저소득층은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의미합니다.
케이패스 환급비용 지급 기준
대중교통 이용요금을 환급받기 위해서는 정해진 기준을 만족해야 하는데, 이 기준이란 월 대중교통 이용 횟수가 15회 이상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가입 첫 달에는 15회 미만 이용해도 환급을 해주지만 이후에는 대중교통을 월에 15회 미만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환급이 되지 않습니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최대 60회까지 환급금을 지급해줍니다. 또한 월 대중교통 이용 요금이 20만원을 초과할 경우 20만원까지는 위의 환급비율을 그대로 적용하지만 20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환급비율이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케이패스 적용 대상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 사업이다보니 적용가능한 대중교통 구간이 서울시 내로 한정된다는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케이패스의 경우 17개 시도 210개 시군구가 참여하는 사업으로 전국 거의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또한 기후동행카드에서 제외되는 광역버스, 광역철도(신분당선, GTX 등), 공항철도 전구간이 환급 대상으로 포함됩니다. 시외(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 별도의 탑승권이 필요하고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은 케이패스 환급 대상에서도 제외됩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후동행카드보다 적용 가능한 대중교통 범위가 훨씬 넓습니다.
케이패스 발급방법
케이패스 발급이 가능한 은행 및 카드사는 신한, 우리, 하나, 삼성, KB국민, BC, IBK기업은행, 광주은행, 케이뱅크, 이동의즐거움, DGB유페이입니다. 카드사마다 신용, 체크카드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케이패스 대중교통 할인 뿐 아니라 통신비, 스타벅스 할인(또는 적립) 등의 부가적인 혜택도 제공하는 카드가 있으니 용도에 따라 개별 카드사 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발급 신청하시면 됩니다.
케이패스 이용방법
카드를 발급받았다면 케이패스에 반드시 등록을 해야 합니다. 케이패스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는 과정에서 카드 등록까지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홈페이지의 회원가입을 클릭하면 카드번호 16자리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카드번호를 입력하고 '카드유효성체크'를 클릭하여 약관 동의 및 본인인증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를 이용하여 본인인증을 하고 주소지를 입력한 뒤 필수 회원정보를 입력하면 회원가입과 카드 등록이 완료됩니다.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었다면 K-패스 회원전환을 통해 사용중인 카드와 계정 그대로 케이패스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시 주소지 검증을 하여 해당 주소지에서 지역별 혜택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면 자동으로 적용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의 경우 최대 60회까지 환급이라는 제한이 사라지고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사용시 무제한으로 20% 또는 30%(청년)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카드사별로 월마다 적립된 환급금을 지급하는 방식과 지급일정이 달라 이 부분도 미리 확인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신한, 우리, 삼성, 하나, 농협카드 등은 7~10영업일 이후 결제 대금에서 차감되거나 계좌로 입금되는 방식입니다. 국민카드,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등은 적립월의 익월 15일~말일 사이에 계좌로 적립금을 입금해주고요. 어떤 방식이든 적립과 환급 간에 약간의 시차가 발생하게 되어 이 부분이 약간 아쉬울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케이패스의 혜택, 카드 발급방법, 이용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알뜰교통카드라는 기존 사업도 있었는데 그동안 잘 몰라서 할인 혜택을 누리지 못한 것 같아 아쉽네요. 이제라도 기후동행카드나 케이패스 이용으로 교통비를 줄여보아야겠습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개형 ISA 계좌 장단점, 절세혜택 상세하게 알아보기 (0) | 2025.02.18 |
---|---|
미국에서 한국으로 송금하기 간편송금 wise 수수료, 레퍼럴 링크 (0) | 2025.02.17 |
해외장기체류 실손보험료 환급 제도 (0) | 2025.02.12 |
후불 기후동행카드 신청, 청년할인, 등록방법, 적용대상 (0) | 2025.02.10 |
2025 청년도약계좌 2월 신청기간부터 혜택까지 알아보기 (1)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