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미국으로 송금할 때는 신한은행 wise 송금, 한패스 등 빠르고 수수료도 저렴한 송금 서비스가 많은 편인데요, 미국에서 한국으로 송금할 때는 비교적 수수료가 높은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은행을 통한 wire transfer는 수수료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에(보통 명시적인 수수료가 없더라도 환율에 수수료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와이어발리, 와이즈, remitly 같은 간편송금을 이용하는 편이 경제적입니다. 오늘은 간편송금 업체 중 wise를 이용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Wise 송금의 장점
미국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여 송금할 경우 매매기준율에 가까운 높은 환율이 적용된다는 것이 와이즈 송금의 장점입니다. 아래는 원/달러 매매기준율이 1,443.70원이었을 때 wise에서 송금 환율을 조회한 화면인데요, 적용 환율이 1,441.25원으로 매매기준율과 2원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은행에서 적용하는 송금 받을 때 환율은 1,429.60원이므로 wise를 이용할 때보다 달러당 10원 이상 손해를 보게 됩니다.
송금액에 비례하여 수수료가 발생하기는 하지만 아래에 소개할 리퍼럴 링크를 통해 가입할 경우 첫 송금에서 $600까지 수수료를 면제해주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이용하면 높은 환율과 낮은 수수료 조합으로 우수한 조건에 송금이 가능합니다. 단,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여 송금할 경우에는 1회에 원화 640만원까지만 송금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합니다.
만일 한국에도 외화 계좌가 있다면 원화로 환전하지 않고 달러로 송금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송금수수료는 더욱 저렴해지는데요, 주의할 점은 미국 은행 계좌에서 ach push 방식으로 wise 계좌에 달러를 보내 채운 뒤 송금해야 수수료가 저렴합니다. wise에서 ach pull 방식으로 달러를 가져와 송금할 경우 미국 은행 계좌에서 와이즈 계좌로 달러를 보내는 데에서 추가적인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추가 수수료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송금업체보다 조건이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 외화 계좌로 송금받은 달러는 환전 시 환율 우대가 가능한 증권사 계좌로 송금하여(은행과 연계된 증권사 계좌로 이체하여 외화 이체 수수료도 줄이도록 합니다.) 원화로 환전하면 최대한 수수료와 환율 손실 없이 송금이 가능합니다.
Wise 리퍼럴 혜택
와이즈는 레퍼럴 링크를 통해 가입하고 계좌를 만들면 첫 송금에서 $600까지 송금수수료를 면제해주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여 송금하는 기준으로 약 $6.5의 수수료가 절약됩니다.
와이즈 레퍼럴 링크 : https://wise.com/invite/dic/soyeongy13
송금 방법
리퍼럴 링크를 통해 가입을 하고 계좌 개설을 진행합니다. wise 계좌번호가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도 은행 계좌를 연결하면 송금이 가능합니다. 계좌번호를 받으려면 미국 내 거주지 증빙 등 verification을 위한 서류를 온라인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wise 계좌번호가 생기면 거래하는 미국 은행에 등록하여 ach push 방식으로 wise에 돈을 채울 수 있습니다.
계좌 개설만 완료하면 송금 방법은 간단합니다. 홈화면의 메뉴중 send를 선택하고 환전하여 송금할 경우 환전할 통화를, 달러로 송금할 경우 USD를 선택합니다. 다음으로 수취인 정보를 입력하고 송금할 금액을 입력합니다. 환율과 수수료 정보를 확인하고 송금을 누르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송금 후기
3분 안에 송금이 완료된다는 광고 문구가 써있는데 제 경우에는 한국 계좌로 돈이 들어오는 데에 하루 정도가 걸렸습니다. 이 정도면 상당히 빠른 편이라 만족스럽습니다. 은행 wire transfer를 이용해도 보통 하루 정도는 소요되는 것 같더라구요. 비슷한 시간이 걸리는데 수수료와 환율 조건은 훨씬 좋습니다. 첫 송금 혜택이 좋은 만큼 두 번째부터는 수수료가 다소 높아질 것 같지만 환율 측면에서 remitly같은 다른 간편송금보다 좋은 조건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그때그때 비교해보고 이용할 업체를 선택하게 될 것 같습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P계좌(개인형퇴직연금) 절세혜택과 장단점 (0) | 2025.02.19 |
---|---|
중개형 ISA 계좌 장단점, 절세혜택 상세하게 알아보기 (0) | 2025.02.18 |
해외장기체류 실손보험료 환급 제도 (0) | 2025.02.12 |
케이패스(k패스)로 대중교통 할인받는 방법(혜택, 적용대상, 발급 및 이용방법) (0) | 2025.02.11 |
후불 기후동행카드 신청, 청년할인, 등록방법, 적용대상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