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세계좌 3종 세트라고 불리며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그만큼 논란도 많은 ISA, IRP, 연금저축계좌! 각각의 계좌의 특징과 장단점을 포스팅으로 정리했었는데 이번에는 셋을 동시에 비교하여 총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SA(중개형), IRP, 연금저축계좌 비교하기
항목 | ISA(중개형) | IRP(개인형퇴직연금) | 연금저축계좌 |
가입대상 | 만 19세 이상 (근로소득자 및 사업소득자는 15세 이상 가능) | 근로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소득이 있는 모든 형태의 근로자 | 소득 및 나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가입 가능 |
납입한도 | 연간 2,000만 원 (5년간 최대 1억 원) |
연간 최대 1,800만 원 (IRP, 연금저축 합산) | |
투자가능상품 | 채권, 국내상장주식, 펀드, ETF, 리츠, 상장형수익증권, 파생결합증권/사채, ETN, RP | - 예금, RP, ELB등 원리금 보장형 상품 - 펀드, ETF, 리츠 등 실적배당형 상품 (원리금 비보장 상품은 70% 이내만 가능) |
펀드, ETF |
세액공제 혜택 | 없음 | 연간 납입액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 IRP, 연금저축 합산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 근로소득 5,500만원(종합소득 4,500만원) 이하 16.5%(최대 148만원) - 근로소득 5,500만원 초과시 13.2%(최대 118만원) |
연간 납입액 최대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 * IRP, 연금저축 합산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 근로소득 5,500만원(종합소득 4,500만원) 이하 16.5%(최대 99만원) - 근로소득 5,500만원 초과시 13.2%(최대 79만원) |
수익에 대한 과세 | - 투자손익 합산하여 과세 - 200만원까지 비과세 - 초과분은 만기시 9.9% 분리과세 |
- 운용수익 과세이연 -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 (3.3~5.5%) 부과 |
- 운용수익 과세이연 -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 (3.3~5.5%) 부과 |
연금 수령 가능 연령 | 해당 없음 | 만 55세 이후 | 만 55세 이후 |
중도 인출 | 자유롭게 가능 | 원칙적으로 불가 (예외 사유 시 가능) | 자유롭게 가능 |
중도해지 시 세금 | 납입원금은 세금 없이 인출 가능 세제 혜택 받은 수익에 대해 15.4% 세금 부과 |
세액공제 받은 납입금과 운용 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 16.5% 부과 | 세액공제 받은 납입금과 운용 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 16.5% 부과 |
적합한 투자 목적 | 단기~중기 투자, 절세 혜택을 활용한 자산 운용 | 노후 대비, 퇴직금 운용, 절세 | 노후 대비, 장기적인 연금 마련, 절세 |
ISA는 납입금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은 없으나 이 계좌에서 발생한 투자손익을 합산하여 과세대상수익을 결정하고, 수익 중 200만원에 대해서는 비과세, 200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ISA 계좌 만기시 9.9%의 낮은 세율로 분리과세하는 혜택이 있습니다. 연금 성격의 다른 두 계좌에서는 투자할 수 없는 국내상장주식(개별주식)에 대한 투자가 허용되기 때문에 국내주식에 투자하시는 분들에게는 필수적인 계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IRP와 연금저축은 굉장히 비슷한 면이 많은 상품인데요, IRP는 연 900만원까지, 연금저축계좌는 연 600만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다만 두 계좌에 모두 납입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합산하여 연 900만원까지만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두 계좌 중 IRP가 예금, RP 등 원리금보장형상품에도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투자대상 상품군이 더 넓고 연금저축계좌는 펀드와 ETF에만 투자가 가능합니다. 또한 IRP는 예외 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면 중도인출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한 반면 연금저축계좌는 세제 혜택 받은 부분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하기는 하지만 중도인출이 자유롭게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세 계좌의 특성이 매번 헷갈렸는데 이렇게 정리를 하고 보니 특징이 명확히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이 세 가지 계좌를 잘 활용하여 자산 운용과 노후 대비를 해나가야 하겠습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DSR 3단계 도입으로 더욱 강화되는 DSR 규제 알아보기 (0) | 2025.03.09 |
---|---|
2025년 3월 4일 대체거래소 출범 참여증권사, 거래종목, 달라지는 점 (1) | 2025.03.05 |
KB 다이렉트 자동차보험 할인 특약 총정리 (1) | 2025.03.02 |
연금저축계좌 개설하면 좋을까? 세제혜택과 장단점 알아보기 (0) | 2025.02.24 |
IRP계좌(개인형퇴직연금) 절세혜택과 장단점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