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배당주 투자에 관심 있는 투자자들이 정말 많은 것 같습니다. 비록 트럼프의 관세 전쟁 때문에 주식시장에 투자하기 어려운 국면이긴 합니다만, 이럴 때일수록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다주는 배당주가 더욱 주목받기도 합니다. 배당주 투자를 하는 분들은 오히려 이렇게 주가가 쌀 때를 보유 주식 수를 늘려 더 많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기회로 보기도 하더군요.
배당주 투자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용어에 대한 공부가 필수적입니다. 오늘은 가장 기초적인 개념인 배당수익률과 배당성장률의 개념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 배당수익률 (Dividend Yield)
“현재 주가 대비 얼마만큼 배당금을 주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배당수익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주가는 내가 이 주식에 투자할 때 필요한 투자금이고 배당금은 해당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얻는 수익이므로, 배당수익률은 이 주식에 대한 투자 수익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름이 비슷한 '배당률'이라는 지표도 있는데 배당률은 주가가 아닌 주식 액면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입니다. 회사의 제무재표 작성 시 배당률이 들어가지만 실제 투자자에게는 배당률보다 배당수익률이 훨씬 중요한 개념입니다.
📌 계산 공식:
배당수익률 = 1주당 연간 배당금 / 현재 주가 × 100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2024년 총 1,446원의 배당금 지급을 결정했습니다. 이 연간 배당금을 최근 삼성전자 주가인 56,100원으로 나누면 약 2.58%의 배당수익률이 나옵니다. 이 말은 삼성전자에 지금 투자하면 연간 약 2.58%의 배당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배당금이 늘어나도 배당수익률이 높아지지만 배당금이 일정한 상황에서 주가가 하락해도 배당수익률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배당수익률이 높아지는 반면 주가 하락으로 인한 자본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가가 떨어질 때는 신중하게 투자를 결정해야 합니다.
✅ 배당성장률 (Dividend Growth Rate)
“배당금이 매년 얼마나 증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성장률
현재의 배당수익률뿐만 아니라 이 회사가 역사적으로 배당을 얼마나 늘려왔는지를 보기 위한 지표가 배당성장률입니다. 배당성장률이 높은 기업은 안정적이고 꾸준한 수익을 내고 있을 가능성이 크고, 시간이 갈수록 배당금이 증가하면 재투자를 통해 복리 효과도 더 크게 누릴 수 있기 때문에 배당성장률을 살펴보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 계산 방법:
보통은 과거 몇 년간 배당금의 평균 증가율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대표적인 배당 성장주 중 하나인 코카콜라는 배당금을 매년 안정적으로 늘려왔습니다.
연도 | 배당금(연간, 주당) |
2020 | $1.60 |
2021 | $1.68 |
2022 | $1.76 |
2023 | $1.84 |
위 표를 보면 코카콜라가 매년 평균 약 4.8%씩 배당금을 늘려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코카콜라의 배당성장률은 약 4.8%입니다. 이러한 기업은 지속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하고 있으며 재무 건전성이 높다는 신뢰를 받습니다.
✅ 요약 비교
개념 | 의미 | 시사점 |
배당수익률 | 지금 주가 대비 배당 수익률 | 지금 당장 현금 흐름이 얼마나 되는지 |
배당성장률 | 배당이 얼마나 빨리 늘고 있는지 | 장기 투자 시 배당이 얼마나 커질지 예측 가능 |
보통 은퇴자나 안정적 현금 흐름을 원하는 투자자들은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을 선호하고, 장기적으로 수익 증가를 노리는 투자자들은 배당성장률이 높은 종목에 관심을 갖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가지수는 정말 항상 우상향할까?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주가지수 흐름 정리 (1) | 2025.04.10 |
---|---|
배당성향(=배당금 분배율)이란? 뜻과 해석방법 (0) | 2025.04.09 |
주식시장 공포지수 VIX 지수 뜻, 확인하는 방법 (0) | 2025.04.07 |
2025년 청년도약계좌 4월 신청기간 (0) | 2025.04.05 |
국민연금 개혁안 국회 통과, '더 내고 더 받자' 청년세대 반발하는 이유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