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수익률, 배당성장률에 이어 배당주와 관련된 용어를 하나 더 정리해보겠습니다. 바로 '배당성향'이라는 용어입니다. 배당성향은 '배당금 분배율'이라는 말로 표현되기도 하는데요, 간단히 말해 회사가 번 돈 중 얼마를 배당으로 돌려주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 배당성향 (Dividend Payout Ratio)이란?
“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배당으로 얼마나 돌려줬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 계산 공식:
배당성향 = 배당금 / 순이익 × 100
또는
배당성향 = 1주당 배당금 / 1주당 순이익(EPS) × 100
예를들어 어떤 회사가 한 해 동안 순이익 1,000억원을 벌었고 연간 배당금으로 400억원을 지출했다면, 배당성향은 400억/1,000억 × 100 = 40%가 됩니다. 즉, 배당성향이 40%라고 한다면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의 40%를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돌려줬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배당성향의 해석
배당성향 숫자 자체를 일률적으로 해석하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대략적인 배당성향 수준에 따라 그 회사의 성향을 아래와 같이 유추할 수 있습니다.
배당성향 수준 | 의미 | 투자자 관점 해석 |
낮음 (0~30%) | 이익 대부분을 사업 재투자에 씀 | 성장형 기업일 가능성, 배당은 적지만 성장 기대 |
중간 (30~60%) | 이익 일부는 배당, 일부는 투자 | 균형 잡힌 배당 정책 |
높음 (60~100% 이상) | 이익 대부분을 배당으로 지급 | 안정성 추구 기업, 혹은 성장이 둔화된 기업 |
요약 비교표
용어 | 기준 | 의미 | 투자자 관점 |
배당성향 (배당금 분배율) | 순이익 | 순이익 중 배당의 비중 | 회사의 주주환원 성향 |
배당률 | 액면가 | 액면가 대비 배당 비율 | 재무제표 상 기록용 |
배당수익률 | 현재 주가 | 투자금 대비 배당 수익 | 실제 투자 수익률 판단 지표 |
✅ 배당성향이 100%를 넘는 경우
배당주들을 살펴보다 보면 배당성향이 100%를 넘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가 벌어들인 순이익보다 더 많은 배당금을 지급했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연간 순이익은 100억원인데 배당금으로 120억원을 지출했다면 배당성향은 120%로 100%를 초과하게 됩니다. 어떻게 번 돈보다 더 많은 돈을 배당으로 줄 수 있을까요?
1. 이월된 과거 이익잉여금(적립금)에서 꺼내서 지급
회사가 과거에 벌어둔 돈이 많으면 지금 당장 순이익이 적더라도 과거에 벌어서 쌓아둔 적립금에서 돈을 꺼내서 배당할 수 있습니다.
2. 현금흐름은 좋은데 회계상 순이익이 낮은 경우
회계 기준에 따라 계산된 순이익은 적지만 실제로는 현금이 많이 들어와 배당을 많이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감가상각이 크면 순이익은 작아지지만 현금흐름은 그보다 좋을 수 있습니다.
3. 비정기적, 특별 배당 (특별 이익 발생 시)
자산 매각, 자회사 상장, 일회성 수익 등으로 특별히 현금이 생겼을 때 주주들에게 더 많이 돌려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4. 정치적·공공적 성격을 가진 공기업
일부 공기업은 순이익이 낮거나 심지어 적자인 상황에서도 정부 정책에 따라 배당을 하기도 합니다.
배당성향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단기적으로는 배당을 많이 주므로 주주에게 좋을 수 있지만 순이익 대비 높은 배당이 지속될 경우 회사의 재무상태에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지속가능성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수익률과 배당성장률이 높은 미국 고배당주 TOP10 종목 추천 (1) | 2025.04.11 |
---|---|
미국 주가지수는 정말 항상 우상향할까?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주가지수 흐름 정리 (1) | 2025.04.10 |
배당수익률과 배당성장률, 뜻과 계산방법, 차이점 (1) | 2025.04.08 |
주식시장 공포지수 VIX 지수 뜻, 확인하는 방법 (0) | 2025.04.07 |
2025년 청년도약계좌 4월 신청기간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