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정보

한국 세계국채지수 WGBI 편입 확정, 수정된 일정과 기대 효과는?

mandoo262 2025. 5. 2. 10:42

 

 

한국 국채가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된다는 소식 들어보셨나요? 세계 3대 채권지수 중 하나인 WGBI (World Governent Bond Index)가 한국을 편입하기로 최종 결정하면서 전 세계의 채권투자자금이 우리나라로 들어올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WGBI란 무엇이고, 한국 편입은 언제 어떻게 되는 것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 WGBI란?

WGBI (World Government Bond Index, 세계국채지수)는 FTSE Russell이 산출하는 글로벌 국채 벤치마크 지수입니다. FTSE Russell은 런던 증권거래소 그룹(LSEG)의 자회사로 S&P Dow Jones, MSCI, CRSP와 함께 세계 최대 시장지수(market indices) 산출기관 중 하나입니다. 

 

  • 공식 명칭: FTSE World Government Bond Index
  • 세계 주요 선진국의 국채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 구성 조건:
    • 국가신용등급이 A- 이상일 것
    • 국채 시장 규모와 유동성이 충분할 것
    • 외국인 투자자가 자유롭게 투자 가능할 것
  • 대표 편입국:
    •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호주 등 25개국
  • 특징:
    • 전 세계 주요 국채 투자자들이 운용 성과를 비교할 때 기준으로 삼는 지수입니다.
    • 많은 패시브 펀드(ETF) 가 WGBI를 추종합니다.
    • 편입되면 글로벌 자금 유입 효과가 기대됩니다.

 


 

🇰🇷 한국의 WGBI 편입

 

한국은 경제 규모나 국가 신용등급(AA 등)에서는 선진국 수준이지만, 국채 시장 개방성외국인 투자 환경 문제로 그동안 WGBI에 편입되지 못했습니다. 우리나라는 IMF 외환위기 트라우마로 외국인에 대한 금융시장 개방 정도가 주요국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입니다. 특히 외국 금융기관이 원화 거래에 직접 참여할 수 없고 역외 거래도 할 수 없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불편한 점이 많았습니다.

 

이에 정부가 여러가지 개선책을 내놓은 끝에 WGBI 편입이 최종적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외국인 국채 투자자에게 세금을 면제해주기로 하고, 외환시장 운영 시간을 새벽 2시까지로 확대하는 등 외환시장 구조 개선방안을 제시했습니다. 향후 24시간 외환 거래가 가능하도록 외환시장 운영 시간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 핵심 장애물:
    •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과세 이슈 (이자소득세/양도소득세)
    • 원화 결제 및 환율 변동성 문제
    • 자본시장 규제
  • 개선 조치:
    • 2023년부터 정부가 외국인 국채 투자자 세금 면제 발표
    • 외환시장 개방 확대 (ex. 서울 외환시장 운영시간 연장 추진)
    •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행정절차 간소화

 


📅 편입 일정 및 방식

 

한국은 2022년 9월 WGBI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되었고, 2024년 10월 드디어 편입이 결정되었습니다. 한국의 편입 비중은 약 2.05%로, 편입국 중 9번째 규모가 됩니다. 당초에는 올해(2025년) 11월부터 지수에 반영될 예정이었지만, 투자자들의 준비 기간을 고려하여 편입 시점을 약간 뒤로 미루기로 했습니다. 2026년 4월부터 8개월 동안 매월 비중을 확대해 최종적으로 2026년 11월에 편입이 완료될 예정입니다.

 

  • 한국의 편입 과정:
    • 2022년 9월: WGBI 관찰대상국(Watch List)으로 지정
    • 2024년 10월: FTSE Russell의 정기 리뷰에서 편입 결정
    • 편입 비중: 약 2.05%로, 편입국 중 9번째 규모

 

  • 편입 일정(예정):
    • 편입 시작 시점: 2026년 4월
    • 편입 완료 시점: 2026년 11월
    • 편입 방식: 8개월 동안 매월 동일한 비중으로 단계적 편입

 


📈 한국 WGBI 편입의 기대 효과

 

WGBI는 추종자금 규모만 2.5조 달러로 추정되는 세계 최대 채권지수입니다. 특히 많은 패시브(passive) 펀드가 이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한국이 WGBI에 편입될 경우 이 투자자금이 자연스럽게 한국 국채에도 흘러들어오게 됩니다. 유입되는 외국인 자금 규모는 70조 원 가량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수를 추종하는 안정적인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입되면서 국채 수요기반이 안정적으로 확대되고, 금리 인하효과에 따라 정부와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도 낮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화 수요가 늘어나면서 외환시장의 유동성도 증가할 것이구요. 

 

또한 이 지수에 편입된 것 자체가 우리나라에 대한 안정성이나 신뢰성을 보여주므로 국가경제 신인도가 전반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구분 내용
외국인 자금 유입 약 50조 ~ 70조 원 규모로 추정
원화 강세 요인 외국인 매수 → 원화 수요 증가
국채 금리 하락 가능성 외국인이 한국 국채를 대거 매입하면 수요 증가 → 금리 하락 압력
국가 신인도 강화 글로벌 주요 국채 지수에 포함되면서 투자 신뢰도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