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팅에서 금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골드바 구매, KRX 금현물, 은행 금통장, 금ETF 투자 이렇게 네 가지 방법 중 세금이 없는 KRX 금현물 투자를 가장 추천했었는데요, 오늘은 구체적으로 증권사 어플을 통해 KRX 금현물에 어떻게 투자하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증권사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비슷한 방식으로 금현물 투자용 계좌를 개설하고 매매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KB증권을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KRX 금현물 투자용 계좌 개설
KB증권의 경우 트레이딩 > 기타주식 > 금현물 메뉴에서 KRX 금현물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주식 하위 메뉴의 기타주식 또는 국내기타시장 등의 메뉴에서 금현물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찾기 어려운 경우 '금현물'로 검색하시면 메뉴가 나옵니다.
금현물 아래의 금현물 현재가, 금현물 주문, 금현물 잔고 중 아무 메뉴나 선택해서 들어가면, 금현물 계좌가 없는 고객의 경우 계좌를 개설하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계좌개설하기'를 눌러 금현물용 계좌를 개설합니다.
위 메세지를 통해 계좌개설 화면으로 이동할 경우 계좌선택 화면에서 '금거래'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증권사 계좌 개설처럼 본인인증, 신분증인증 등을 거쳐 비대면으로 손쉽게 계좌를 만들 수 있습니다.
2. KRX 금현물 시세 확인하기
계좌 개설이 완료되었다면 '금현물 현재가' 메뉴에서 KRX 금현물의 실시간 시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래 가능한 종목이 금 99.99_1kg와 미니금 99.99_100g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요, 시세에 큰 차이는 없고 매수한 금을 실물로 출고시 1kg 짜리는 1kg 단위로, 미니금은 100g 단위로 출고할 수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일반적인 주식상품처럼 호가와 추이, 차트 등을 이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년 말부터 금 가격이 굉장히 많이 오른 것을 차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네요.
3. KRX 금현물 주문하기
'금현물 주문' 화면에서 매수나 매도가 가능합니다. 주문은 1g 단위로 가능하고, KB증권의 경우 거래시 0.3%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4. KRX 금현물 세금
앞선 포스팅에서 정리했듯이 KRX 금현물 투자의 가장 큰 장점은 비과세라는 점입니다. 골드바처럼 살 때 10% 부가가치세가 붙지도 않고, ETF나 금통장처럼 시세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되지도 않습니다. 증권사가 떼어가는 수수료가 유일한 비용이고 보통 0.3% 내외이니 굉장히 적은 비용으로 금 투자가 가능합니다.
다만 이렇게 매수한 금을 실물로 인출할 때에는 부가가치세와 인출 수수료가 별도로 발생합니다. 실물이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비용을 생각했을 때 굳이 실물 인출은 하지 않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거래가능시간 : 정규장, 프리마켓, 애프터마켓, 써머타임까지 (0) | 2025.05.01 |
---|---|
미국 트럼프 관세 정책 100일간 타임라인 정리 : 우리나라에 부과된 관세는 얼마? (2) | 2025.04.30 |
금투자방법 4가지, 가장 좋은 투자 방법은?(골드바, KRX 금투자, 금통장, 금투자 ETF) (1) | 2025.04.28 |
마진콜 뜻, 발생이유,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5.04.25 |
엔캐리트레이드 청산 뜻, 이유, 엔캐리 청산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