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엔당 800원대까지도 내려갔던 엔화 환율이 최근 다시 1000원을 돌파하면서 높아지고 있죠. 상당한 기간 동안 약세를 보였던 엔화가 다시금 강세를 보이고 있는 건데요, 이렇게 엔화 가치가 높아지면서 "엔 캐리 트레이드(Yen Carry Trade)"의 청산 가능성이 뉴스에 심심찮게 등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엔 캐리 트레이드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최근 시장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엔 캐리 트레이드란?
캐리 트레이드(Carry Trade)란 간단히 말해 금리가 낮은 통화로 자금을 빌려 금리가 높은 국가의 자산에 투자해 금리 차익(이자 수익) 또는 자산 수익을 노리는 투자 전략입니다.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죠? 일본은 최근 수십년 동안 저성장, 저물가에 시달려왔기 때문에 일본의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결정하는 기준금리도 굉장히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어 왔습니다.

위 그래프에서 빨간색은 미국, 파란색은 일본의 기준금리입니다. 일본의 기준금리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거의 0% 수준에서 유지되었고, 2016년에는 아베노믹스 정책의 일환으로 마이너스 기준금리(-0.1%)가 도입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만성적인 저금리가 유지되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은 엔화를 '차입 통화'로 많이 이용해왔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금리가 낮은 통화로 자금을 빌려 금리가 높은 국가의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을 엔화로 실행하는 것이 바로 "엔 캐리 트레이드"입니다. 0%에 가까운 이자로 엔화를 빌려 이를 환전해 달러 자산에 투자하면 그 금리 차이만큼의 투자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이지요.
🧮 엔캐리 트레이드 구조
✅ 기본 구조(숫자는 예시)
- 일본에서 엔화를 빌림 → 연 0.1% 금리
- 엔화를 달러로 환전 → 달러 보유
- 달러로 미국 국채(또는 위험 자산)에 투자 → 연 5% 수익
- 만기 시 다시 달러를 엔화로 환전 후 상환
✅ 기대 수익 계산 공식

- r_투자 통화 : 투자 대상 국가(미국)의 금리 또는 자산 수익률
- r_차입 통화 : 차입 통화(일본 엔)의 금리
- 환차익: 투자기간 동안의 환율 변화에 따른 수익
📉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가능성
이렇게 장기간 투자전략으로 활용되어 왔던 엔캐리 트레이드에 무슨 변화가 생긴 걸까요? 뉴스에서 말하는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은 캐리 트레이드 거래가 되돌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미국 등 다른 나라에 투자했던 자금을 회수해서 다시 일본으로 되돌아가는 것이지요. 왜 갑자기 자금이 일본으로 되돌아간다는 것일까요?
1. 일본의 물가 상승
원인은 최근 일본에서 일어나고 있는 물가 상승에 있습니다. 일본의 물가는 1990년대 버블 붕괴 이후 0% 안팎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일본은행이 아무리 금리를 내리고 정부가 돈을 풀어도 물가가 오르지 않았죠. 그런데 이 물가가 몇 년 전부터 꿈틀대기 시작했습니다.

2020년 이후 코로나 부양책으로 막대한 돈이 풀린 데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되며 에너지 가격이 급등한 점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우리가 알다시피 엔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수입품 가격이 더욱 오르기도 했구요. 물가가 2~3%대 수준으로 오르면서 수십년간 오르지 않던 임금도 조금씩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물가가 오르면서 17년간 0% 또는 마이너스를 유지했던 일본의 기준금리도 조금씩 오르고 있습니다. 일본은행이 2024년 3월 기준금리를 0~0.1%로 인상한 데 이어 두 차례 더 금리를 인상하면서 현재 일본의 기준금리는 0.5%가 되었습니다.
한편 미국은 반대로 인플레이션이 잡히고 경기 침체 우려가 생겨나면서 금리 인하 사이클에 접어들었습니다. 비록 트럼프의 관세 정책 때문에 물가가 다시 높아질 우려가 생기면서 적극적인 인하는 하지 못하고 있지만요.
3. 엔캐리 트레이드 수익성 악화
금리가 싼 일본에서 돈을 빌려서 금리가 높은 미국에 투자하고 있었는데, 일본의 금리는 올라가고 미국의 금리는 낮아지는 것입니다. 동시에 일본 엔화가 강해지고 미국 달러가 약해지고 있는데, 이렇게 되면 투자했던 달러 자금을 엔화로 다시 환전하는 과정에서 환차손도 보게 됩니다. 결국 캐리 트레이드의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포지션을 청산하려는 움직임이 나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엔캐리 트레이드가 청산되는 것과 주식시장은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위의 예시에서는 엔화 자금을 빌려 다른 나라의 국채에 투자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실제로 저금리로 조달된 엔화 자금은 다른 나라의 주식 등 위험자산에도 투자됩니다. 따라서 이 트레이드가 청산되면 주식시장에서 돈이 빠져나가는 것이지요. 실제로 작년 8월 코스피가 8.77%, S&P500 지수가 9.8% 하락하는 등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그 원인 중 하나로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이 지목되었습니다.
작년에 한 차례 포지션의 청산이 이루어지면서 현재는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규모를 알 수 없는 만큼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 중 하나로 계속 언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이 높은 요즘,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향방도 주의깊게 지켜봐야 하는 변수가 되겠습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투자방법 4가지, 가장 좋은 투자 방법은?(골드바, KRX 금투자, 금통장, 금투자 ETF) (1) | 2025.04.28 |
---|---|
마진콜 뜻, 발생이유,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5.04.25 |
달러인덱스 실시간 확인하는 법, 달러인덱스의 뜻과 원/달러 환율과의 관계 (0) | 2025.04.21 |
키움증권 HTS 상승/하락 업종 확인하기 업종별 투자자별 매매동향 (0) | 2025.04.18 |
역외 NDF 환율이란? 초보투자자들을 위한 쉬운 설명 (0) | 2025.04.17 |